

JI SU JANG
Hyung-Geun Park(1973~) is a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er known for exploring modernity, spirituality, and symbiosis in his work. In the series "Tenseless," he examines the boundary between nature and civilization, creating an imaginary landscape that blurs the line between fantasy and reality. Park's style is constantly evolving as he continues to contemplate philosophical ideas and experiment with his art.
Kwon O-bong(1954~) is a Korean painter who belongs to the second generation of experimental artists in Korea since the 1980s, along with Lee Bae, Nam Tchun-Mo, and Kim Keun-tai. Due to his physical disability caused by polio, Kwon O-Bong is evaluated as an irreplaceable gestural artist in the history of Korean experimental art.
사진작가 박형근(1973~)은 1990년대 후반부터 근대성, 영성, 공생 등의 주제를 고찰하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박형근은 자연과 문명의 경계를 탐색하며 환상과 실재가 혼재된 상상의 풍경을 구축한다. 금호영아티스트(2006), 제9회 다음작가상(2010), 프랑스포토케이레지던시 국제사진상(2014), 제12회 일우사진상 출판부문(2022)에 선정되었으며 미국 휴스턴현대미술관, 조지이스트만 미술관, 프랑스 국립 케브랑리박물관, 영국 언스트앤영, 금호미술관, 일민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권오봉(1954~)은 이배, 남춘모와 함께 1980년대 이후 한국 실험미술세대 2세대 화가이다. 소아마비라는 태생적 장애를 가진 권오봉의 신체적 아이덴티티는 한국실험미술 역사에서 대체불가능한 신체주의 작가로서 자리매김 하며 황현욱, 윤형근 등 당시의 선후배 작가들의 주목을 받게 된다. 1980년대 한국실험미술의 산 역사인 ‘인공화랑’의 최연소 작가였으며, 2023년 이인성상을 수상하였다.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Seoul, Daegu
Golden Afternoon
PNC Gallery Seoul, Daegu
30 July - 18 August 2024
Group Exhibition
2024
PNC Gallery Seoul, Daegu
30 July - 18 August 2024

JI SU JANG
Lee Myungmi(1950~) is a painter who was active in the avant-garde movement in 1970s. Amidst a predominantly male-dominated avant-garde movement at the time, she emerged as one of the few female artists, contrary to the prevalent trend of installations and performances, challenged the notion that such simplicity could serve as a language of contemporary art.
이명미(1950~)는 한국의 실험미술운동 1세대 작가이다. 1970년대 당시 전위예술 운동은 지극히 남성중심의 미술운동으로 소수의 여성작가들이 존재했다. 이명미는 과감히 생략된 화면과 어린이의 순수함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화면으로 독자적인 언어를 연구한다. ‘여성작가’가 견뎌야 했던 근대와 현대 두 세계의 패러다임을 이명미는 현재까지도 자신만의 일관된 주제와 어법으로 풀어가고 있다.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JI SU JANG
About
PNC Gallery opened in 2012 in Daegu, a city where the Korean avant-garde movement flourished in the 1970s and 1980s.
피앤씨갤러리는 2012년 대구에서 개관하였습니다.
Opening on Tuesday, July 30, 2024, the gallery will feature the work of Kwon O-Bong, Hyung-Geun Park, Lee Bae, Lee Myungmi, Jisu Jang and Cheon. This exhibition explores the concept of the "peak moment" through the works of six artists from diverse backgrounds and experiences. August resembles the culmination of life, but the realization is always the next moment. The evening sun shines in the west, and the waning summer moon rises high in the eastern sky, brilliant, but it's not until the darkness envelops us that we suddenly realize that summer has passed. The memories of peak moments always come with a sense of nostalgia, reminding us of our finite existence and offering precious recollections that bring sorrow, comfort, and courage even in difficult times.
피앤씨갤러리는 7월 30일부터 8월 17일까지 피앤씨갤러리 서울과 대구 전시장에서 8월 컬렉션 전시, “Golden Afternoon골든 애프터눈”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서로 다른 배경과 이력을 지닌 여섯 작가의 작업을 통해 ‘절정의 순간’을 탐구하는 전시입니다. 8월은 인생의 절정을 닮아 있습니다. 그러나 뜨겁던 태양이 서쪽으로 물러가 금색으로 물들며 이제 곧 어둠이 우리를 감싸는 시간이 되어서야 문득 우리는 여름이 지나감을 깨닫게 됩니다. 절정의 기억은 언제나 노스탤지어의 모습으로, 인간의 유한한 생을 되새기게 하며, 어려운 순간에도 슬픔과 위로와 용기를 주는 소중한 기억이 됩니다. 찬란한 여름의 기억이 인생의 한 줄기 빛이 되듯, 여섯 작가의 다채로운 작품을 통해 생명과 자유에 대한 염원과 청춘의 단면을 들여다보는 이번 전시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JI SU JANG
Jisu Jang(1993~) explores themes of the emotional turbulence of the human experience. Her works touch upon themes of illness, mortality, and the fragility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She lives and works in Daegu, Korea.
Cheon(1985~) navigates between figuration and abstraction to explore concepts about subjects. His work includes a portrait series characterized by highly restrained expressions and colors, as well as a still life and landscape series that combines various textures and brushstrokes of oil paint, capturing what seems like a moment in motion. Cheon's works invite viewers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painting, situated between the tangible sensation of the medium and the artist's ideas, oscillating between representation and the essence beyond it.
장지수(1993~)는 이화여대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현재 대구와 청도에서 작업하고 있다. 학부시절부터 일관된 작가의 주제는 지극히 사적인 공간의 숨겨진 이면을 관찰하고 그 안에서 자신의 솔직한 내면의 정서를 이끌어내고 스스로 회복하고 극복하는 심리적인 드라마가 주제이다. 목탄과 유화, 색연필 등 다양한 재료와 지지체를 사용하여 독특한 질감을 가진 화면이 특징이다
채온(1985~)은 구상과 추상의 사이에서 대상에 대한 관념을 환기하는 화가이다. 표정을 읽을 수 없이 매우 절제된 표현과 색의 포트레이트 시리즈와 유화의 다양한 물성과 붓질이 뒤섞여 마치 흔들리는 공간을 캡쳐한 듯한 정물과 풍경시리즈를 주로 탐구하고 있는 채온은 회화라는 물질 자체의 감각과 화가의 관념사이에서 재현과 실체 그 너머의 회화의 관념성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한다.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CV
Videos
Selected Works
Exhibitions
News
Top

Videos
Selected Works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View More Selected Works














Next Exhibition
Previous Exhib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