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 SU JANG
Chang'e, the name of the Chinese spacecraft, is a goddess of the moon in Chinese mythology. Chang'e escaped to the moon after taking the elixir of life alone. The Moon, Mermaid, and Sea (2023), the video artwork of Jisun Shin, portrays this goddess as an invisible being living in the crescent moon. The video starts with a mermaid floating close to the surface of the water seen from under the sea. With the tail fin wobbling from wave to wave, the immobile mermaid is soon engulfed in bubbles. The heroine of The Little Mermaid, a literary fairy tale written by Hans Christian Andersen, dived into the sea after giving up stabbing the prince with the knife of the witch, destined to disappear as bubbles. The mermaid princess, in a much lighter being, became the spirit of the air as a reward for having the goodness of her heart and ascended to heaven. Perhaps she might have gone to the moon where Chang'e lives. Or she might have gone to space, the unknown universe, as she longed for life on the land out of the water.
The moon also means truth in the classic literature of the East. Yeongjeongjungwol, the title of a Korean poetry written by Yi Gyubo in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has the meaning of 'Song to the moon in the well.' "A mountain monk coveted the moon / he drew water, a whole jar full / but when he reached his temple, he discovered / that tilting the jar meant spilling the moon." A monk who thought he had found the truth, spiritually awakened, returned to the temple, but realized the truth had already disappeared. Jisun Shin's way of work, borrowing classics, tales, and myths from the East and the West such as Yeongjeongjungwol and The Little Mermaid, to create a story and expand the work can also be found easily in her earlier works. The artist used a case found in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a medical book, and interpreted the comb pattern in the New Stone Age as an important sign of nature in her other work The Rubbing / Sound of Flesh (2021) which will be played in this private exhibition. The action of rubbing hands and bumping the body into a tree, as shown in the video, is widely known as a folk remedy to keep the human body healthy. This method of keeping one's health began with the principle of oriental medicine that emphasizes the communion of the body with the outside, meaning nature. In this work, the motions of petting the back of a pigeon and hitting a stone are also a metaphor for the health management method in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It mentions that the organs of our body work in harmony while having their respective energies and functions. This comes from the idea of symbolizing humans as microcosms, implying that the cosmological principle is embodied in the human body. The human body (or human) is a miniature version of the universe and, at the same time, the being of all factors of the universe. Meanwhile, the sound of the signals that the Mars rover transmits in space in the opening part of the video symbolizes the universe of today. Not only that, it also implies the imaginary contact of communication with all creation throughou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중국의 우주선 이름인 창어는 중국 신화에 나오는 달의 여신이다. 영원히 살 수 있는 불사약을 혼자 먹고 달로 도망간 창어. 신지선의 영상 작품 <달, 인어, 바다>(2023)에서 이 여신은 초승달 속에 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로 등장한다. 영상은 바닷속에서 수면 가까이 떠 있는 인어를 바라보는 시점으로 시작한다. 미동 없이 물결을 따라 꼬리지느러미가 흔들리는 인어는 이내 물거품에 휩싸인다. 안데르센의 동화 『인어공주』의 주인공은 마녀의 칼로 왕자를 찌르지 못한 채 바다에 몸을 던져 물거품이 되었다. 몸이 가벼워진 공주는 선한 마음을 지닌 데 대한 보상으로 공기의 정령이 되어 승천했다. 어쩌면 창어가 있는 달로 갔을지 모른다. 물속을 떠나 육지에서의 삶을 갈망했듯 우주라는 미지의 세계로 향했을 수도 있다.
달은 동양의 고전에서 진리를 뜻하기도 한다. 고려 중기에 이규보가 지은 한시의 제목 「영정중월(詠井中月)」은 ‘우물 속의 달을 읊는다’라는 의미이다. “산승이 달빛을 좋아하여/병 속에 물과 함께 길어 담았네/절에 다다르며 바야흐로 깨달았다/병을 기울이면 달빛 또한 텅 비는 것을.” 진리를 얻었다고, 득도했다고 생각했지만 산사로 돌아와 문득 생각해보니 어느새 진리는 사라져 버렸다. 「영정중월」, 『인어공주』와 같은 동서양의 고전, 설화, 신화를 끌어와 이야기를 만들고 작품을 전개해나가는 방식은 신지선의 이전 작업에서도 자주 보인다. 작가는 이번 개인전에 전시되는 또 다른 작품 <비/살소리>(2021)에서 의학서 『동의보감』에 나오는 사례를 이용하여, 신석기 시대의 빗살무늬를 자연의 중요한 신호로 해석하였다. 영상 속의 손을 비비고 몸을 나무에 부딪치는 행위는 인체의 건강을 지키는 민간요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건강법은 몸과 자연을 뜻하는 신체 외부의 교감을 중요시하는 한의학에서 비롯되었다. 작품에서 비둘기의 등을 쓰다듬고 돌을 때리는 동작 역시『동의보감』의 건강법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장면이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우리 몸의 장기는 각기 다른 기운과 기능을 갖고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작용한다. 이는 우주를 움직이는 원리가 인체에도 구현되어 있다는, 인간을 소우주로 상징하는 사고로부터 기인한다. 인체(혹은 인간)는 우주의 축소판(小 宇宙)이자 우주의 온갖 요소가 들어가 있는 것(素宇宙)이다. 한편 영상 초반부에 들리는 화성 탐사 로봇이 우주에서 전송하는 신호는 현재의 우주를 상징한다. 뿐만 아니라 과거, 현재, 미래를 넘나들며 만물과 소통하는 상상의 접촉을 암시한다.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