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main-img

JI SU JANG

The artist’s focus on her own internal darkness may seem rather depressing. Her paintings however stand apart from attendant affects such as inertia, cynicism, or abandon. She meticulously observes her own incompleteness, apparently out of curiosity. More specifically, Large-scale works seem to vastly magnify the artist's inner observations, obtained through deep self-immersion. Here, she occasionally draws motifs from physical pain or endoscopic experiences, using them as a sculptural language. Through such endeavors, she fully unfurls the 'self' that awaits hidden in the innermost quarters, his inner world and the body's interior overlapping.


Jang however draws, instead of attempting to confess her obsessive tendency. Rough bundles of

yellow, black, and white lines appear to strongly clash with one another like ascending cascades

within the frame, and viscous fluids or even smoke seems to be seeping out of the cracks in the

strange irregularity of the orange wall. The expressive yet ambiguous images don titles, yet evade

stationary and definitive signification.

작가가 자신의 어두움에 집중하는 것은 일면 우울하게 보인다. 그러나 그의 그림은 우울과 연결되는 무기력, 냉소 그리고 체념적인 정서와는 다르다. 작가는 자신의 불완전성을 면밀하게 관찰하는데, 이는 순수한 호기심처럼 보이기도 한다. 특히 150호 이상의 대형 작업은 작가가 자신의 내부로 침잠하여 관찰한 내면을 거대하게 확대한 듯하다. 여기서 그는 신체적 통증이나 내시경의 경험에서 모티프를 가져와 조형 언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몸 속 깊은 곳에 숨어있는 ‘나’라는 존재를 크게 펼쳐낸 것이다. 작가의 내면과 신체의 내부가 겹치는 것이다.


하지만 장지수는 그의 강박적 성향을 고백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림을 그린다. 화면 속에는 노란색과 검정, 흰색의 거친 선-뭉치가 마치 폭포와 역류하는 무언가처럼 강하게 부딪히는 듯하고, 기묘하게 올록볼록한 주황의 벽 틈에서 점액질이나 연기가 스멀스멀 나오는 것 같기도 하다. 표현적이면서 모호한 이미지의 작업에는 제목이 있지만, 이것 역시 고정되고 완결된 의미를 찾기가 어렵다.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Seoul

Artist Website

Mirroring: Jisu Jang

PNC GALLERY Seoul

5 September – 5 October 2024

Solo Exhibition

2024

PNC GALLERY Seoul

5 September – 5 October 2024

main-img

JI SU JANG

Jang mobilizes a variety of formative language and media to portray his internality. He uses color pencils, charcoal, or oil pastel to emphasize the lines while also brush-painting with oil. Charcoal, in particular, are central in his paintings. Charcoal-drawn lines convey a sense of force and roughness, speed, directionality, and tension in their colors and textures. With charcoal, he draws murmuring, hesitant, or at times blasting countercurrents of lines. While his previous productions on himself and his surroundings center on charcoal-drawn black masses, more recent works present widely spread-out charcoal lines that often overlap with other media. In his Division in Wall Cracks 벽이 갈라진 틈에 분열 (2024) series, for instance, he draws charcoal lines and paints them over in orange to amalgamate the two media. The charcoal particles smoothly blend with the paint to generate a brown hue, endowing the orange plane with an embossed texture. Also, he paints charcoal over with the disparate material of oil pastel. The two retain their own unique texture, refusing to blend.

장지수는 자신의 내향성을 그려내기 위해 다양한 매체와 여러 조형 언어를 구사한다. 그는 붓으로 유화물감을 칠하는 동시에 선적인 요소가 강조되도록 색연필이나 목탄, 오일파스텔 등을 사용한다. 특히 그의 그림에는 목탄의 존재가 크다. 목탄으로 그어진 선은 그것의 색채와 질감에서 강하고 거친 느낌, 속도감이나 방향성, 긴장감 등을 전한다. 그는 목탄을 통해 웅얼거리거나 망설이는 듯한 선을 긋기도 하고, 역류하듯 강한 압력에 터져 나오는 듯한 선을 표현하기도 한다. 그간 자신과 그의 주변을 그려오던 작업에서는 목탄으로 칠해진 검정 덩어리가 주인공처럼 등장해 왔는데, 근작에서는 이러한 집중보다는 목탄 선이 화면에 비교적 넓게 퍼지고, 다른 매체와 겹치며 등장한다. '벽이 갈라진 틈에 분열'(2024) 연작을 보면 목탄으로 드로잉을 한 후 그 위에 주황색 물감을 다시 칠하여 두 매체가 섞이도록 한다. 이때 목탄의 입자가 물감과 부드럽게 혼합되어 갈색조로 보이며 마치 주황색 면이 올록볼록하게 보이는 효과를 준다. 또한 그는 목탄 위에 다른 성질의 재료인 오일파스텔을 칠하기도 한다. 이 둘은 섞이지 않고 서로의 질감을 그대로 노출한다.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main-img

JI SU JANG

About

Artist Website

PNC Gallery opened in 2012 in Daegu, a city where the Korean avant-garde movement flourished in the 1970s and 1980s. 

Artist Website

instagram 1

Instagram

피앤씨갤러리는 2012년 대구에서 개관하였습니다.

Jisu Jang relentlessly contemplates his inner darkness. Through her first solo exhibition of the year entitled Figure Studies, she gives concrete shape to the theme that he has been pursuing over the past years – her own internality, as a mirror image of the self amidst intense struggles and self tolerance within his private and ordinary abodes. In recent productions, he begins to dive deeper within, investigating his internal landscape.

장지수는 자기 내면의 어두움에 대하여 집요하게 생각한다. 지난 수년 동안 그는 자신의 내향성을 주제로 삼아 작업을 이어왔으며, 2023년 첫 개인전인 《Figure Studies》에서 이를 구체화해본다. 그것은 작가 개인의 평범하고 사적인 공간 속에서 고군분투하며 스스로를 견디고 있는 자신의 모습이었다. 근작에서 작가는 더욱 내부로 침잠하여 자신의 내면을 탐구하기 시작한다. 


main-img

JI SU JANG

Jang’s canvases simultaneously house clashes and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and at times even incompatible faculties, such as ambiguous objects, flatness and depth, the rough texture of charcoal and the smoothness of woodblocks. The artist sensitively gazes upon his own anxiety and manifests it in cubic sensation. In fact, the most private portraiture of his internality in the paintings may be a point that we all share. We however easily neglect them, or fail to see them with earnestness. The internality that he paints, in effect, is at once a mental and imaginary scene and the internal landscape of his own body. His personal issues reach and touch upon more universal contexts about our own kind’s internality and interior. Ultimately, the exhibition title ‘mirroring’ points not only to the interrelation between artist and artwork but also the viewers.

장지수의 화면에는 애매모호한 대상, 평면과 깊이감, 거친 목탄과 나무판의 매끄러움같이 다양하고 상반되는 지점이 서로 충돌하고 화답하며 존재한다. 작가는 자신의 불안을 예민하게 바라보고 이를 입체적인 감각으로 드러내는 것이다. 사실 그가 그리는 지극히 개인적인 내면의 풍경은 우리가 모두 공유하는 어떤 지점일지도 모른다. 다만 우리는 이를 진지하게 다루지 않거나 쉽게 외면하곤 한다. 나아가 그가 그리는 내면은 심리적이고 상상의

장면이면서, 동시에 신체 내부의 모습이기도 하다. 그의 개인적인 문제는 인간의 내면-내부에 관한 좀 더 보편적인 맥락에 가 닿는다. 결국 전시명인 ‘미러링’은 작가와 작업의 관계일 테지만 관람자를 향하는 것이기도 하다.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CV

Videos

Selected Works

Exhibitions

News

Top

main-img

Videos

Selected Works

002 1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002 1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002 1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002 1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002 1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002 1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002 1

JI SU JANG, 불투명한 창을 만지는 연습 04, 2023, Charcoal, oil on canvas, 45 7/10 × 35 4/5 in | 116 × 91 cm

View More Selected Works

Next Exhibition

Previous Exhibition

bottom of page